Announcement
번호 | 제목 | 첨부 | ||||
---|---|---|---|---|---|---|
98 | Congrats! Carbon Nitride Nanotubes for H2O2 production work has been accepted. | |||||
Liang Zhou, Juying Lei, Fuchen Wang, Lingzhi Wang, Michael R. Hoffmann, yongdi Liu*, Su-il In* and Jinlong Zhang*, "Carbon Nitride Nanotubes with in situ Grafted Hydroxyl Groups for Highly Efficient Spontaneous H2O2 Production",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2021 (in press)
|
||||||
97 | Congrats! Lead and Lead-Free Halide Perovskite Nanostructures story has been published. | |||||
Chaitanya B. Hiragond, Niket S. Powar, and Su-Il In *, "Recent developments in Lead and Lead-Free Halide Perovskite Nanostructures towards photocatalytic CO2 reduction", Nanomaterials (2020) 10, 2569 | ||||||
96 | Our 4 research topics have been selected in the WEF Top 10th emerging technologies 2020 | |||||
4 topics are in the list, Sun-powered Chemistry, Electric aviation, Green Hydrogen, Lower-carbon Cement |
||||||
95 | Congrats! N-doped GO/RT work has been accepted in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 |||||
Chaitanya B. Hiragond, Junho Lee,Hwapyong Kim, Jin-Woo Jung, Chang-Hee Cho, and Su-Il In*, "A novel N-doped graphene oxide enfolded reduced titania for highly stable and selective gas-phase photocatalytic CO2 reduction into CH4: An in-depth study on the interfacial charge transfer mechanism" has been accepted for publication",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020) | ||||||
94 | Congrats! Noble Metal Sensitized Invasive Porous Bioelectrodes has been accepted in RSC Advances | |||||
Title: Noble Metal Sensitized Invasive Porous Bioelectrodes: Advanced Medical Device for Enhanced Neuronal Activity and Chronic Alcohol Treatment
Journal: RSC Advances
Authors: Hong Soo Kim, Hansaem Choi, Monica Claire Flores, Abdul Razzaq, Young Seob Gwak, Danbi Ahn, Mi Seon Kim, Ogan Gurel, Bong Hyo Lee, and Su-Il In* |
||||||
93 | Congrats! Miss Gong got an excellent paper presentation award in the 2020 KSIEC fall meeting | |||||
Congrats! Miss Gong got an excellent paper presentation award in the 2020 KSIEC fall meeting | ||||||
92 | Congrats! Layered Double Hydroxide (LDH) paper has been accepted. | |||||
We are pleased to inform that the following paper has been officially accepted for publication: Journal : Catalysts Type of manuscript: Review Title: Layered Double Hydroxide (LDH) based photocatalysts: An Outstanding Strategy for Efficient Photocatalytic CO2 Conversion Authors: Abdul Razzaq, Shahzad Ali, Muhammad Asif, Su-Il In* |
||||||
91 | Our dye-sensitized beta voltaic has been introduced in the Chemistry World published by RSC | |||||
https://www.chemistryworld.com/news/solar-cell-concept-used-to-enhance-nuclear-battery/4012495.article
|
||||||
90 | [언론보도]이산화탄소를 에너지 전환하는 인공광합성 핵심 소재 개발 | |||||
이산화탄소를 에너지 전환하는 인공광합성 핵심 소재 개발(한국일보 2019.8.19)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된 이산화탄소를 태양광을 이용해 에너지원으로 전환하는데 필수적인 고효율 광촉매가 개발됐다. 아직 갈 길은 멀지만, 온실가스 저감과 친환경에너지원 확보에 한발 더 다가섰다는 평가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디지스트) 인수일 에너지공학전공 교수 연구팀은 기존 촉매보다 효율이 10배 이상인 신개념 이산화티타늄-산화구리 광촉매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지난 5월 하와이 마우나로아 관측소에서 측정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사상최고치인 471.1ppm이다. 이에 따라 세계각국에선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노력과 함께 에너지원으로 전환하려는 연구가 한창이다. 에너지 전환방법 중 하나로 이산화탄소와 물을 태양에너지로 반응시켜 메탄가스로 전환하는 인공광합성이 주목 받고 있다. 이 과정에 가장 핵심인 고효율 광촉매 개발 연구가 한창이고, 디지스트 연구팀이 고효율 광촉매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 인수일 디지스트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환원된 이산화티타늄 산화구리 광촉매 모식도. 인수일 교수팀이 개발한 광촉매는 태양광 중 자외선뿐 아니라 가시광선도 이용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했다. 또 식물의 광합성을 모사해 산화구리 조촉매와 이산화티타늄 주촉매로 된 특수한 구조로 설계했다. 기존 이산화티타늄 광촉매보다 자외선뿐 아니라 가시광선 영역 빛을 더 많이 흡수할 수 있어 그 만큼 효율이 뛰어나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희석된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연구팀의 산화구리-이산화티타늄 촉매가 기존의 환원 이산화티타늄 촉매보다 10배 더 많은 양의 메탄을 생성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안정성 측정을 위해 특정 기체상 화합물의 함량 측정기인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분석으로 42시간의 장기 운전에서도 우수한 안정성을 보임을 확인했다. 인수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지구상에 풍부한 구리 금속을 이용한 조촉매를 사용해 낮은 가격에 높은 안정성을 확보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며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후속 연구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정광진 기자 kjcheong@hankookilbo.com |
||||||
89 | [언론보도]세계 최초 염료감응 베타전지 개발 |